목록
이전글 다음글
충돌의 몽타쥬, 강렬함을 넘어
IMG_9131.JPG
 《충돌의 몽타쥬, 강렬함을 넘어》展 개요

○ 전시기간 : 2024. 11. 12.(화) ~ 2025. 2. 23.(일)
○ 관람시간 : 10:00 ~ 18:00
○ 전시장소 : 대구예술발전소 3층 미디어팩토리 
○ 참여작가 : 박성준, 범진용, 진상태
○ 주최주관 :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대구예술발전소

비의미적이며 비표현적인, 부유하는 파편들 

아마도. 전시장에 들어선 당신은 매우 당혹스러운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 회화 작품이 걸려있는 벽은 전시의 작품을 관객들에게 환하게 제시하지 않으며 작품 사이의 여백마다 추상적 사운드와 나레이션이 결합되어 관객의 동선에 침투합니다. 이는 어쩌면 하나의 영화 내지는 공연의 경험과 유사한데, 그럼에도 객석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정해져 있는 플롯을 따라가는 선형적 구도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에서 그것들과는 상당한 차이점을 보이기도 합니다. 예술 장르들의 모여짐. 그러나 그 연결이 너무나 느슨하여 결합이라는 형태로 귀결되지는 않는. 또한, 여기에 작품의 내용적 교차가 진행됩니다. 그러나 매우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는 작품들의 소재는 현대 예술이 ‘도착(倒錯)’되어 있는 장소에서 자라난, 어쩌면 이제는 너무 숙성되어 당장이라도 떨어질 듯한 열매로 여겨지는 의식과 무의식, 꿈과 그들의 파편들입니다. 


영화사에서 ‘파편(fragment)’이라는 말을 사용한 대표적 감독인 브레송(Robert Bresson)은 해당 개념을 ‘절대적 가치가 없는’ 이미지, 자기 완결적이지도, 자기 충족적이지도 않은 이미지로 사용합니다. 그 자체로는 비의미적이고 비표현적인 이미지인 ‘파편’만이 다른 이미지(파편)와 만나 변화하고 변형되어 함께 새로운 형태와 의미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죠. 영화적 진실이란 미리 주어진 것이거나 재현해야 할 것이 아니라, 이미지/파편들의 이러한 만남과 관계로 이루어지는 ‘파편화’ 과정을 통해 ‘발견’되고 ‘조우’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영화적 몽타주의 파편은 현대 예술에 ‘외삽(Extrapolation)’ 되었습니다. 관객들은 극장에서의 경험과는 다르게 신체의 자유를 허락받지만, 오히려 화면이 고정된 채 감상하는 영화보다 제한적 메시지를 제공받게 됩니다. 


융합예술가인 박성준과 회화 작가 범진용, 실험음악가 진상태. 이들 3인이 제공하는 일련의 작품군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관객들에게 쉽사리 작품의 의미를 표상하게 만들지는 않습니다. 다행인 것은 작품 주변에 잔재하는 꿈과 기억의 조각들이 난해한 비-표상적 징후만이 아닌 어쩌면 관객들과 공명하는 보편성으로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일종의 ‘타블로 비방(tableau vivant)’으로 혹여는 비영화-연극적 ‘미장센’으로서 관객과 호흡하는 현대 예술의 단면입니다. 이 곳에서 관객들은 전시장에 부유하는 파편들을 수집하여 자신만의 기억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 놓이게 되는데요. 이에 전시의 의미는 특정할 수 없는 익명의 사건으로 존재하게 됩니다. 따라서 해당 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단서는 오직 당신의 기억 속에서 발견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당신이 자신 앞에 놓인 이 사건을 해결하고 싶을 때에만 말이죠.


유원준(미학, 영남대학교)

MAP
KakaoTalk_Photo_2025-01-02-17-17-02.jpeg
Interactive installation, about 15 min, 3 computers, 4 hue sensors, 1 kinect sensor, 1 projector, 32 smart lights, 3 stage lights, 2 audio interfaces(18ch), 6 monitor speakers, 6 wireless headphones, 7 headphones, 3 mp3 players, 2024.

ACT 1
범진용_< 140410 >, charcoal on canvas, 250 x 326cm, 2014
범진용_< 꿈일기 드로잉 >, charcoal on canvas, 140 x 830cm, 2014
범진용_< 인물 >, ink on canvas, 30 x 30cm, 2013
범진용_< 문어소녀 >, ink on canvas, 25 x 25cm, 2013
범진용_< 인물 >, ink on canvas, 30 x 30cm, 2013
박성준_light effect & interaction
박성준_immersive sound effect(8ch), narrative(목소리 : 곽종열, AI 제네레이팅 : 박성준)
진상태_sound design & mixing
진상태_music < 01. 충돌 >, 06:02:273

ACT 2
범진용_< 1+1 >, oil on paper, 110 x 97cm, 2012
범진용_< 인물 >, oil on paper, 110 x 97cm, 2012
범진용_< 인물들 >, oil on paper, 110 x 97cm, 2012
범진용_< 인물 >, oil on paper, 53 x 45.5cm, 2012
범진용_< 작업실 >, oil on canvas, 117 x 91cm, 2013
범진용_< 네명의 신사 >, oil on canvas, 117 x 91cm, 2013
범진용_< 한국식정원에서 >, oil on canvas, 117 x 91cm, 2013
박성준_light effect & interaction 
박성준_narrative(목소리 : 곽종열, AI 제네레이팅 : 박성준)
진상태_sound design & mixing 
진상태_sound Installation , 하드 디스크, 미니 엠프, ect.
진상태_music < 02. 몽타쥬 >, 06:02:273

ACT 3
범진용_< 풍경 >, oil on canvas, 227 x 870cm, 2017
범진용_< 풍경 >, oil on canvas, 117 x 91cm, 2015
범진용_< 풍경 >, oil on canvas, 145 x 112cm, 2015
범진용_< 나옹 >, oil on canvas, 130 x 163cm, 2022
박성준_light effect & interaction(motion tracking) 
박성준_soundscape(대구 달성공원, 숲, 바다, ect.)
진상태_sound design & mixing 
진상태_music < 03. 강렬함 >, 08:02:251
진상태_music < 04. 넘어 >, 04:54:400

ⓒ 범진용, 진상태, 박성준

ABOUT ARTIST
KakaoTalk_Photo_2025-01-02-17-18-02-1.jpeg
  《충돌의 몽타쥬, 강렬함을 넘어》의 전시 공간은 총 3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범진용(BEOM, Jin Yong)의 작업 연대기와 연관된다. 범진용의 회화 작업은 무의식이 기록된 꿈의 이야기로부터 버려진 땅, 인물로 이어지는 형식적 변화를 거쳐 왔다.
  작가의 초기 작업은 꿈속의 희미한 이미지와 사건을 재조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전시장 내를 부유하는 텍스트(내레이션 사운드)는 작업의 바탕이 된 범진용의 ‘꿈 일기’를 반영하며 관람자의 몰입을 유도한다.
  이후 일상으로 시선을 돌린 작가는 버려진 장소와 그곳의 이름 모를 식물, 주변의 사람들을 기록하였다. 고립되고 스산한 어딘가, 다시는 돌아오질 않을 순간, 그 순간의 누군가. 인적을 찾아볼 수 없는 장소와 친숙한 누군가의 모습은 어딘가 있을 법한, 그러나 어디에도 없는 무명(無名)의 장소와 인간을 지시한다. 작가는 일상적 경험과 기억의 편린을 쌓아 익숙한 듯 생경한 장면을 재현해 낸다.
KakaoTalk_Photo_2025-01-02-17-18-02-2.jpeg
  한편, 범진용의 일기에 더해진 진상태(JIN, Sang Tae)의 추상적인 공간음은 이미지와 조응하며, 마치 배우의 대사처럼 극의 흐름을 이끈다. 실험 음악가 진상태는 자신이 경험한 사물들을 발음체로 전환하여 이를 공간에 재배치하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작가는 주로 해체된 하드디스크에 여타의 물질들을 연결하고, 그 마찰음으로 즉흥적인 사운드 아트를 구성한다.
  이러한 장치는 해당 전시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불분명하고 우연적인 리듬이 텍스트 사이를 침투하게 된다. 일련의 서사를 선명하게 조명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텍스트와 효과음, 반복되는 리듬과 노이즈가 편집된 사운드는 마치 허황된 몽중몽설(夢中夢說)처럼 들릴지 모른다. 그러나 관람자의 행위에 의해 촉발된 공간음은 그들의 다음 행위를 유도하며 유의미한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관람자는 사운드가 안내하는 극의 형식을 쫓아 산발적 내러티브를 형성하고 또 지우기를 반복하게 될 것이다.
KakaoTalk_Photo_2025-01-02-17-18-02-3.jpeg
KakaoTalk_Photo_2025-01-02-17-18-02-4.jpeg
  《충돌의 몽타쥬, 강렬함을 넘어》는 기술의 진보와 매체의 다양성이 야기한 담론의 확장과 복잡한 서술화를 다루며, 동시대 예술의 새로운 내러티브 형식을 제시하고 있다. 본 전시를 기획한 박성준(PARK, Seong Jun)은 인터랙티브 설치와 영상, 이미지, 사운드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내러티브의 형식을 탐구한다.
  《충돌의 몽타쥬, 강렬함을 넘어》에서 전시장 내 조명 장치와 사운드는 관람자의 행위에 반응해 발현되고, 이로 인해 만들어진 효과는 다시 관람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이 같은 상호작용 속에서 관람자는 자신의 위치와 동작에 따른 장면의 전환, 사건의 전개와 유보를 접하게 된다. 그들은 사건을 목도한 타자이자 내러티브를 이끄는 주체로서 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영화적 경험을 마주한다. 이미지와 사운드, 인터랙티브 장치, 그리고 관람자. 이들 간의 충돌 속에서 매 순간 새로운 공간적 몽타쥬가 재생산된다. 박성준은 제도화된 구조를 벗어나 개체들이 유희하는 내재성의 장을 구성하고, 의미의 창발 및 새로운 시각과 감정을 야기하는 예술적 실험을 제안하고 있다.


손지영(NODE.)

충돌의 몽타쥬, 강렬함을 넘어

연계 프로그램
2024. 12. 3.  (화)  17:00 진상태 즉흥음악 공연 ‘Over Montage’
                               18:00 아티스트 토크(모더레이터 유원준)

참여작가
범진용 BEOM, Jin Yong
박성준 PARK, Seong Jun
진상태 JIN, Sang Tae

기획/연출 : 박성준
협력기획 : 손지영(NODE.)

내러티브 : 범진용, 박성준
이미지(회화) : 범진용
사운드/음악 : 진상태
목소리 : 곽종열
인터랙티브/효과 : 박성준
설치 : 박형철

전시자문 : 유원준(미학, 영남대)
홍보디자인 : 정태경
사진/촬영 : 고대환

후원 : 대구시,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대구예술발전소 
도움주신분 : 이제형(일리-엠), 
                    정성진 과장 & 이용학 테크니션(대구예술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