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일,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26번지(2층)에 ‘공간리상춘’이 현대미술 전시공간으로 탄생했다. 공간리상춘은 일제강점기 당대 아방가르드 예술 양식(다다이즘, 미래주의, 초현실주의, 구성주의)을 통해 민족 독립과 노동자, 농민 해방을 위해 투신하다 일제의 탄압으로 수차례 옥고를 치른 끝에 28살의 나이로 요절한 대구 중구 출신의 미술가 이상춘(李相春, 1910-1937)의 전위적 예술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개관하게 되었다. ‘공간리상춘’은 2020년에 창립한 ‘리카(RICA, Ri Sang-Chun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이상춘현대미술학교)’와 2012년에 창립한 지역의 아티스트 콜렉티브 ‘로컬포스트(Local post)’가 공동으로 결성한 공간이다.
이상춘의 존재는 2019년 대구예술발전소에서 3.1운동 100주년 기념으로 기획된 《대구아트레전드: 이상춘》 전시회를 통해 처음으로 깊이 있게 조명되었으며, 이 전시를 통해 그의 예술적 활동 및 미술사적 업적, 생애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지역미술계와 학계에서는 이상춘이 이인성과 이쾌대 못지않게 중요한 지역 미술가임을 역설하고 조명하는 활동을 해왔으며 그 필요성을 인식했다.
이어서 2019년 대구예술발전소 전시에 참여했던 미술인들이 주축이 되어 이상춘의 사회참여적 예술정신을 계승하고, 지역에서 현대미술(contemporary art) 교육과 전시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2020년 ‘리카’를 창립하여 현재까지 지역의 젊은 미술인들을 중심으로 매년 현대미술 강좌와 전시를 개최해 오고 있다. 대안 미술대학 성격의 리카 강좌와 전시는 글로벌 자본주의로부터 비롯된 다양한 문제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현대미술의 맥락에서 기획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까지 네 번의 기획 전시는 로컬 이슈에 집중해 왔는데, 생태문제(금호강 팔현습지), 젠더갈등(대구퀴어문화축제), 종교문화갈등(대현동이슬람사원건립), 미술제도(미술대학 교육, 이인성미술상), 민주주의 문제(박정희동상건립) 등을 주요 이슈로 다뤄 왔다. 로컬포스트는 그룹의 이름에 걸맞게 지역성의 특수성을 보편성으로 확장하여 글로컬한 프로젝트를 펼치는 아티스트 콜렉티브이다. 다원예술과 소셜아트, 공동체 예술의 영역에서 예술과 예술, 지역과 국경, 예술가와 관람자의 경계를 허무는 작업을 펼치고 있다. 행동주의 예술에서 뉴미디어아트까지 스펙트럼을 확장하며 온-오프라인의 플랫폼에서 활동하고 있는 12년차 그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