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제목이 시사하듯 1980년 사북항쟁을 담는다. 광주 민주항쟁 이 전에 이미 공수부대가 투입된 사건이지만 기록은커녕 말조차 꺼내지 못한 채 개인의 트라우마로 응어리진 사북의 이야기이다. 한국사에서 지역명은 종종 역사의 얼룩을 표상한다. 제주 43항쟁, 거창 양민학살, 광주 민주화운동과 같이 국가폭력과 개인의 트라우마가 뒤얽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인 역사적 장소가 있다. 사북항쟁도 그렇다. 사북항쟁은 1980년 4월 21일부터 24일까지 4일간 걸쳐 동양 최대의 민영탄광인 동원탄좌 사북영업소에서 광부와 그 가족이 열악한 노동환경에 항거하여 일어난 사건이다. 그러나 과연 이렇게 정돈된 문장이 사북항쟁을 말할 수 있을까? 물론 이 한 문장을 기술하기 위한 지난한 진상규명의 과정과 투쟁은 이루 말할 수 없지만, 이는 빙산의 일각이다. 사실 “사북의 봄”은 짧았고 이후 내내 보복의 칼바람이 혹독했다.
영화는 사북에서 나만 탈출했다는 죄책감을 가진 황인욱 소장을 따라간다. 그는 사북 출신이고 아버지가 동원탄좌 광부였으며, 당시 중학생이었던 그는 사북 사건 관련자들이 친구들의 부모이거나 자신의 가족이었다. 그는 직접 사건 당사자는 아니지만 경험자였고, 사건 내부자는 아니었지만 연관자였고, 사건을 직접 체화하지는 않았지만 망각하고 모른 척 살수도 없는 자리에서, 당시의 사건을 하나하나 되짚어 간다. 영화는 그런 그이기에 가능한 작업이고, 그런 그이기에 해야만 하는 작업이다. 그리고 그 자리가 이 사건을 수년 동안 기록해온 감독의 자리이자 감독이 관객을 초대하는 자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