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1991년 소련의 해체는 40여 년간 이어진 냉전의 종식과 자본주의 진영의 승리를 의미했습니다. 그리고 이제 전 세계가 경제적 공동체로 엮이게 되는 글로벌 자본주의 시대의 개막을 알렸죠. 이후 공산주의에 대해 유럽의 지식인들은 현실 공산주의를 실패로 진단하며 다양한 의견을 개진해 나갔습니다. 슬라보예 지젝(Slavoj Žižek, 1949-)은 소련과 동유럽에서 관료적 억압과 폭력, 정체된 권력구조, 대중 참여의 부재를 예로 들며 “공산주의가 실패했지만, 자본주의가 승리한 것도 아니며 지금도 공산주의라는 대안을 상상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알랭 바디우(Alain Badiou, 1937-)는 국가의 권력 독점과 평등의 실현 실패를 근거로 ”공산주의가 실패했지만, 공산주의라는 가설 자체가 폐기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며 새로운 형태의 공산주의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독일 태생의 러시아 철학자이자 미술 비평가인 보리스 그로이스(Boris Groys, 1947-)는 지젝과 바디우의 견해와 달리 소비에트 연방을 공산주의로 간주하며 공산주의 사회를 권력과 권력을 향한 비판이 동일한 매개, 즉 언어를 매개로 작동하는 사회로 정의했습니다. 즉 소비에트 연방은 어떤 사회보다도 더 멀리 공산주의 프로젝트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는 것이죠.
그로이스에 따르면 언어를 매개로 작동했던 소련과 동유럽에서의 ‘권력’은 스스로를 역설적이고 변증법적이라고 규정했으며 집권당이 되어 자신을 사회의 중심부로 옮긴 뒤 정과 반이 공존하는 총체적인 사회를 구성했습니다. 변증법적인 사고란 대립하는 두 물질의 역설 속에서 사고하는 것입니다. 즉 변증법적인 세계 속에서 개인의 의식은 모순에서 도피할 수 없습니다. 그런 까닭에 변증법적 유물론은 삶을 지배하기 위해서 역설을 통해 삶을 포착할 것을 추구합니다. 달리 말하면 변증법적 유물론에서는 오로지 전체, 측 총체성(Totality)만이 살아 있는 것이 됩니다. 우리가 a를 말했다고 해서, 그것이 곧 a의 부정이 금지되기를 원하는 것이 아닙니다. a의 부정이 금지된다면, a의 부정은 전체에서 배제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전체는 전체로서 살아 있는 것이기를 멈추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소비에트인은 소비에트적이면서 반소비에트적인 사고를 동시에 하는, 즉 총체적으로 사고하도록 요구되었습니다. 이 사회에서는 대립을 부정하거나 근절하지 않고 더욱 첨예화하는 방식으로 나아갑니다. 사회는 언어화되며, 모순에서 자유로운 말은 없기에 자본주의의 총체성이 돈을 매개로 나타나는 것과 반대로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역설적인 언어를 통해서 총체성이 나타납니다.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관계들이 언어화될 때, 그것이 모순과 역설로 점철되어 있을지라도 사회 속 모든 사람은 비로소 권력과 자신의 삶에 저항할 수 있는 가능성을 획득합니다. 언어는 평등의 매개물이며 권력의 언어화는, 그것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모든 발화자의 평등이라는 조건에서만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산주의 사회는 언어를 매개로 모든 정치적 결정, 삶, 발화, 예술적 행동이 이루어지는 사회였기에 a에서 b로, b에서 a로 무수히 이동하는 사유 변경이 항상 요청되었습니다. 이는 그로이스가 언급하는 메타노이아(Metanoia) 개념에서도 확인됩니다. 메타노이아라는 개념은 원래 종교적인 의미로 ‘개종’을 의미했지만, 그는 공산주의 사회와 연결해 이 용어를 하나의 사회적 상황에서 또 다른 상황으로의 끊임없는 전환, 종결, 시작의 의미로 사용했습니다. 즉 이것은 이전과 똑같이 하지 않는 것, 평범한 길을 가는 것을 거부하는 것, 일상적인 쳇바퀴를 그만 굴리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메타노이아가 외적 상황이 없을 때, 즉 사유 변경을 자극할 만한 아무런 요구가 없을 때도 발생해야만 하는 것이었습니다. 메타노이아는 우리가 외적으로 주어진 제한을 스스로 내면화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적 충동에 따라 사회가 제공하는 가능성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같은 자기 제한을 통해서만이 주권과 자치가 획득될 수 있으며 진정으로 다른 관점과 다른 사유를 행할 수 있죠.